
겸재 정선(1676~1759)이 그린 세기의 작품, 인왕제색도의 배경이 된 서울 인왕산. 이 곳은 겸재 정선의 소꿉친구 시인 이병연(1671~1751)과의 진한 우정이 깃든 곳이기도 하다. 정선은 북악산 자락 끝에서 인왕산을 마주보며 살아왔다. 한 스승 밑에서 함께 공부한 동무 사이인 정선과 이병연. 노인이 되도록 우정을 나눠 온 이병연과 정선은 이병연이 여든 살이 될 무렵 병이 들어 죽음을 앞두고 있었다. 그때 정선은 인왕제색도를 완성했다. 인왕산 아래에는 친구 이병연의 집도 한 채 그려 넣었다. 친구가 오래 살기를 바라는 우정 어린 마음에서였다. 결국 이병연은 나흘 뒤에 숨을 거뒀고 정선은 그 후로 8년여를 더 살았다.
☞ 인왕산~북악산 트레킹 코스
인왕산 길: 사직공원-모자바위-석굴암-기차바위-성덕사
북악산 길: 창의문-능금나무길-백악마루-곡장-촛대바위
인왕산~북악산: 황학정-옥인동-수목원-청운동-돌고래쉼터-숙정문-말바위전망대 쉼터-와룡공원
서울의 역사와 함께 해온 산
인왕산에는 태조, 무학대사의 기도터와 사직터널에서 자하문까지 서울 외곽을 쌓았던 성곽이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산 이름마저 왕(王)자를 쓰지 못하고‘인왕(仁旺)’으로 고쳤다가, 1995년에 와서야‘인왕(仁王)’이란 본래 이름을 되찾았다.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코스는 사직터널을 출발 기점으로 성곽터와 정상을 지나 부암동으로 하산하는 코스다. 청와대 앞길과 연결되어 있어 여유가 된다면 팔판로, 효자로, 경복궁까지 걸어보는 것도 좋다. 사직공원 뒤에서 본격적인 등산로를 오르는 길목에는 황학정이 있다. 조선시대 궁술을 연습하던 터였지만 일제 때 경희궁 안에 있던 황학정이 이곳으로 옮겨졌다. 숲으로 둘러싸인 너른 터를 조팝꽃 군락이 눈부시게 장식하고 있다. 정상에 오르면 경복궁을 중심으로 인왕산과 함께 조선시대 한양을 둘러싸고 있던 내사산인 낙산, 남산, 백악산이 펼쳐진다. 정상 아래편에 겸재의‘인왕제색도’에 나오는 매바위와 치마바위가 장관을 이룬다. 사직공원에서 삼거리를 지나 오르는 코스에서는 점심시간을 이용해 산책을 즐기는 직장인들도 자주 보인다. 향긋한 내음이 풍기는 나무 계단을 지나 범바위에 오르면 동쪽으로 청와대 전경이 보인다. 종주 코스로 잡으려면 정상을 지나 홍제동 채석장이나 부암동 하림각, 자하문 방면으로 하산하면 된다.
성곽 따라 걷는 옛길
성곽길은 오르는 길 자체보다도 뒤쪽 전망을 쉬엄쉬엄 돌아보며 걷기 좋은 코스다. 창의문을 지나 성곽 안쪽 길을 따라 쭉 걷다가 돌계단을 오르면 성곽 바깥으로 나가게 된다. 성곽 밖 길은 200m 정도 이어지는데 태조·세종·숙종 때 쌓은 것으로 전해지는 성돌들을 볼 수 있다. 성돌에 낀 거무스름한 이끼가 서울의 오랜 역사를 말해주는 듯하다. 다시 성 안쪽 길에 들어서서 숨을 몰아쉬며 계단길을 오르면 기다리고 있었다는 듯 다른 풍경이 펼쳐진다. 사방팔방이 탁 트인 전망과 함께 인왕산 정상이 눈에 들어온다.
인왕산의 미끈한 바위 표면 위로 탕춘대성이 능선을 따라 이어진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뒤 수도를 방어하기 위해 보강된 성곽으로 북한산성과 연결된다. 정상에 올라 삿갓바위 근처에 서면 서울을 둘러싼 산들과 한강 물줄기 사이로 빽빽하게 들어찬 빌딩숲이 보인다. 정상을 지나 청운동으로 내려가는 길의 성곽은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성벽 원형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다.
서대문구의 홍제동과 종로구의 무악동, 누상동, 옥인동, 부암동에 걸쳐있는 인왕산(仁王山)은 정상의 높이가 338.2미터이다. 북한산에서 볼 때, 북악산을 중심으로 좌측에 낙산, 우측에 인왕산이 있어 좌청룡 우백호를 이룬다. 특이한 형태의 암석과 암벽의 웅대함이 등산객의 감탄을 자아내며, 정상에 서면 서울 중심가의 빌딩들과 청와대 부근의 녹지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인다.
월요일과 공휴일 다음날은 등산진입이 통제된다.
☆ 등산로
* 사직공원 옆 인왕산길 (황학정 부근)
* 독립공원 맞은 편 (국사당 올라가는 골목, 무악동 동사무소 부근)
* 구 서울여상
* 문화촌 (동성교회 부근)
* 누상동 (인왕천 약수터 쪽)
* 옥인동 (버드나무 약수터 쪽)
* 청운동 (청운약수터 쪽)
* 부암동 사무소 부근
* 세검정 천주교회 부근
[출처] 한국관광공사
'내가 사랑하는 한국의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배령 (0) | 2011.04.11 |
---|---|
[스크랩] 겨울을 재촉하는 영남알프스의 雨는 카메라도 먹어 치웠다. NO2 (0) | 2010.10.29 |
[스크랩] Alps 영남 알프스 加智山(최고봉)에서 가을 스케치 31km NO1 (0) | 2010.10.28 |
[스크랩] 북한강변의 작고 예쁜 경강역과 추억속의 강촌역 (0) | 2010.07.22 |
[스크랩] Re: MBC 미니시리즈 `궁` 15회에서 소개되었던 단편 (0) | 2010.06.18 |